효자동 코오롱하늘채 미국 정부가 이란산 원유를 이라크산으로 위장해 밀수한 업체들에 대해 새로운 제재를 가했다. 최근 잇따른 대이란 제재의 일환으로 국제 제재를 회피하려는 이란 정부의 전략에 제동을 걸고 자금원을 차단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미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OFAC)은 2일(현지시간) 이라크·세인트키츠네비스 이중국적 사업가 왈시드 알 사마라이가 운영하는 해운회사와 관련 선박들을 제재 대상으로 지정했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미국 내 자산은 동결되고, 미국과의 모든 거래가 금지된다.
재무부에 따르면 이들 업체는 이란산 석유를 이라크산 석유와 섞어 ‘이라크산’으로 판매해 왔으며, 이를 통해 알 사마라이와 이란 정권이 연간 최소 3억 달러(약 4000억원)의 수익을 올렸다. 제재 대상에는 알 사마라이 개인과 아랍에미리트(UAE)에 있는 바빌론 해운회사(Babylon Navigation DMCC), 갤럭시 오일(Galaxy Oil FZ LLC) 등 2개 업체, 라이베리아 국적 선박 9척, 관련 페이퍼 컴퍼니 5곳이 포함됐다.
재무부는 지난 7월에도 이란산 석유와 상품 거래에 관여한 17개국 해운사 15곳, 선박 52척, 개인 12명에 대해 제재를 단행한 바 있다. 지난달에는 그리스 해운사와 중국의 원유 터미널 운영사 2곳도 제재 대상에 올랐다.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은 이날 “이라크가 테러리스트들의 안전한 피난처가 되어선 안 된다. 이는 미국이 이란의 이라크 내 영향력 행사에 맞서 싸우려는 이유”라며 “재무부는 이란의 석유 수입원을 표적으로 삼아 이란 정권이 미국과 그 동맹국을 공격할 수 있는 능력을 한층 더 약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올 시즌 리그 최고의 외국인 투수로 군림 중인 한화 코디 폰세(31)가 또 새로운 역사를 썼다.
폰세는 3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린 NC와의 홈경기에 선발 등판해 6이닝 7피안타 2볼넷 8탈삼진 3실점으로 호투하며 한 시즌 최다 탈삼진 신기록을 달성했다.
1회 맷 데이비슨을 3구 만에 헛스윙 삼진으로 잡아낸 폰세는 2회에도 김휘집에게서 삼진 아웃을 이끌어냈다. 3회에 이우성을 루킹 삼진으로 잡아낸 폰세는 5회에만 박민우, 데이비슨, 천재환 등 세 명의 타자를 모두 삼진 아웃으로 돌려세웠다. 이날 경기 전까지 220탈삼진을 기록하고 있던 폰세는 5회까지 6개를 추가했다.
이로써 폰세는 2021년 두산 소속이었던 아리엘 미란다의 한 시즌 최다 탈삼진 225개 기록을 넘어섰다. 국내 투수의 시즌 최다 탈삼진 기록은 2022년 안우진(키움)이 기록한 224개다. 폰세는 안우진은 물론 미란다까지 넘어서며 프로야구 출범 이래 최고의 삼진 생산 능력을 자랑했다.
이날 대기록을 달성한 후에도 삼진 행진은 계속됐다. 5회 천재환을 잡고 신기록을 세운 뒤 마운드에서 한껏 포효한 폰세는 6회에도 2개의 삼진을 추가했다. 최고 시속 158㎞의 위력적인 직구와 체인지업, 커브, 슬라이더 등을 앞세워 퀄리티스타트(6이닝 이상 3자책 이하)를 달성한 뒤 7회부터 불펜에 마운드를 넘겼다.
올 시즌 폰세는 삼진과 관련된 기록을 하나씩 경신해왔다. 지난 5월17일 대전 SSG전에서 8이닝 동안 삼진 18개를 잡아내 팀 동료인 류현진이 보유한 정규이닝 기준 한 경기 최다 탈삼진(17개) 기록을 깼다. 이어 8월12일 롯데전에서는 시즌 23경기 만에 200탈삼진을 달성해 역대 최소 경기 200탈삼진의 주인공이 되기도 했다.
4년 전 미란다는 28경기에서 225개 삼진을 잡아냈다. 이날 경기는 폰세의 시즌 26번째 등판이었다. 폰세는 미란다보다 2경기 더 빠른 페이스로 기록을 경신했다.
폰세가 갖고 있는 기록은 삼진뿐만이 아니다. 그는 개막 최다 연승 기록의 보유자이기도 하다. 지난 8월12일 대전 롯데전에서 개막 후 15연승을 달리며 최다 연승 신기록을 작성했고 지난달 28일 키움전까지 16연승을 했다. 이날 NC전에서는 5-3으로 앞선 채 마운드를 내려갔으나 불펜이 7회 동점을 허용하며 승수를 추가하지 못했다.
폰세는 탈삼진 부문 리그 1위는 물론 다승(16승), 평균자책(1.76), 승률(100%) 부문에서도 1위에 올라 있다. 폰세가 1점대 평균자책을 끝까지 유지하면 2010년 류현진(1.82) 이후 15년 만에 1점대 평균자책 투수가 탄생한다. 각 부문에서 선두를 지킨다면 2023년 NC 소속이었던 에릭 페디 이후 2년 만의 투수 3관왕 이상도 노릴 수 있다.